파이썬 변수

2019. 7. 29. 19:59컴퓨터/python

변수 - 메모리에 이름을 붙여놓고, 값을 저장하는것

 

 

변수 명명 규칙

변수는 용도에 맞게 이름을 붙여놓되, 중복되면 안된다.

 

변수이름을 정할땐 다음과 같은 몇가지 규칙이 있다. 

 

1.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
2. 모든 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
3. 알파벳, 밑줄 (_), 숫자로 구성된다.

4. 첫글자로 숫자는 쓸 수 없다.

 

1. 예약어는 파이썬에서 용도를 미리 정해놓은 문자이다. 

   앞에서 사용했던 print, input 뿐만 아니라 if,while,True,and 등 여러 예약어들이 있다.

 

2. 예를들어, fly Fly FLY 세글자는 모두 다른 문자이다.

 

3. pythonprograming 같은 문장은 보기 힘들기 때문에, PythonPrograming, Python_Programing 등으로 표기한다.

    즉, 변수명을 정할땐 띄어쓰기를 못한다. 그리고 _를 제외한 기호 또한 못쓴다.

 

4. 1st, 2nd 같이 숫자가 앞에 나오는 경우는 변수명으로 못쓴다.

 

 

그리고 실습할때는 i, a 같은 의미없는 변수명을 쓰지만, 실제로 프로젝트를 할때는 뜻이 있는 변수명을 쓰는것이 좋다.

 

변수의 사용

파이썬은 C 나 다른 언어와 달리 타입을 직접 정하지 않는다. 

int C = 10
float D = 3.14
char E = A

위의 코드같이 C 의 경우에는 변수앞에 int (*integer = 정수), float (*floating-point = 실수) char (*character = 문자) 같은 타입을 선언해서  초기화 하지만 파이썬은 최초 대입하는 값에 의해 타입이 정해진다. 

 

A = 10
B = B
C = 3.14

A는 정수형, B는 문자형, C는 실수형 타입이 지정되었다. 

이처럼 파이썬에서는 최초로 저장되는 값에 따라 타입이 정해진다.

 

>>> A = 10
>>> print(A)
10
>>> A = 'A'
>>> print(A)
A

그리고, 처음에 정수형으로 타입이 정해진 변수도 문자형으로 바꾸면, 변수의 저장된 값이 바뀌면서 타입도 같이 변한다.

 

만일, 현재 변수의 타입이 뭔지 알고싶을땐, type(변수명) 을 하면 변수의 타입이 나온다.

>>> A = 10
>>> type(A)
<class 'int'>

변수 A의 형태는 int, 즉 정수형이다.

 

근데, 하나의 변수를 계속 바꾸면서 사용하면, 헷갈리고, 코드도 복잡해지니, 타입을 바꾸면서 쓰지 말자.

 

 

만들어진 변수를 지울땐 del(변수명)을 하면 된다.

>>> A = 10
>>> del(A)
>>> A
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
  File "<stdin>", line 1, in <module>
NameError: name 'A' is not defined

A를 지우고 부르니 A가 정의되지 않았다고 오류를 뿜는다. 

'컴퓨터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파이썬 연산자  (0) 2019.07.30
파이썬 타입  (0) 2019.07.30
파이썬 입력과 출력  (0) 2019.07.29
파이썬 코드블록  (0) 2019.07.29
파이썬  (0) 2019.07.29